본문 바로가기
투자

효성첨단소재 주가 배당금 전망

by 검은머리개미 2023. 3. 27.
반응형

효성첨단소재는 산업자재, 섬유 및 기타부문의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업입니다.

 

산업자재 부문에는 타이어보강재, 산업용 원사, 카펫, 아라미드, 탐소섬유 등이 있고, 타이어보강재는 타이어제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대표제품으로는 타이어코드와 스틸코드가 있습니다.

 

산업용 원사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에어백, 건축, 토목 및 일반 산업현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효성첨단소재의 주가 및 배당금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효성첨단소재 사업 개요

위에서 간단히 언급한 효성첨단소재의 사업 부문은 산업자재, 섬유 및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동차 차체 바닥에 장착되는 카펫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흡음성과 차음성이 뛰어나 주행 시 소음 개선효과가 있는 제품입니다.

아라미드는 방탄소재, 자동차 고무 보강용, 산업용 등에 사용되고 있고, 탄소섬유는 고압용기, 전선심재, 건축보강 용도로 사용되는 부가가치가 높은 신소재 제품입니다.

 

효성첨단소재의 제품 중 원재료 부문은 PET chip, Wire rod, PTMG, MDI, Nylon chip 등이 있으며, 주요 매입처는 효성티앤씨, 청도강철, 인비스타 등이 있습니다.

 

효성첨단소재의 주요 매출처는 연결회사인 해외법인과 한국타이어, 넥센타이어, 미쉐린 등이 있습니다.

 

22년 4분기 기준 효성첨단소재의 매출 비중은 총 3조 8,413억 원의 매출 중 3조 7,942억 원은 산업자재 부문에서 발생이 되었고, 5,197억 원은 섬유 부문에서 발생이 되었습니다. 내부거래로 6,363억 원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2. 효성첨단소재 재무제표

효성첨단소재에 대한 하나증권 컨센서스를 참고해 보면, 2023년 매출액은 3조 4,368억 원으로 2022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률이 개선되어 영업이익은 매출액 감소보다는 조금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3 2024 2025
매출액 3조 4,368억 3조 6,185억 3조 6,405억
영업이익 3,149억 3,872억 3,618억
당기순이익 1,718억 2,202억 2,046억
EPS 38,350원 49,150원 45,664원
PER 10.7배 8.35배 8.99배

하나증권에서는 이처럼 전망을 하고, 효성첨단소재 주당순이익(EPS)의 증가율은 2023년 37.07%, 2024년 28.16%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3년 1분기는 22년 4분기에 비해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23년 2분기는 전분기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효성첨단소재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3,504억 원이었고, 2023년 4,755억 원, 2024년 4,199억 원, 2025년 4,297억 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매출액, 영업활동현금흐름, 순이익 등 실적은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지만, 효성첨단소재 부채비율은 2022년 기준 267%로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자보상배율도 6.38배로 부채로 발생하는 이자비용이 기업의 실적에 비해 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효성첨단소재 주가 전망

효성첨단소재의 매출비중은 산업자재 부문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매출액을 기록 중에 있습니다. 기존의 사업은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고, 향후 신성장 동력인 탄소섬유부문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탄소섬유는 탄소중립과 우주항공시대 개막이라는 국제적인 흐름 속에 효성첨단소재가 택한 미래 동력이고, 친환경 고압용기, 태양광 단열재용, 우주항공/방산 관련 고부가제품 수요 증가를 기대하는 만큼 높은 성장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효성첨단소재의 탄소섬유부문 영업이익 비중도 2023년 14%에서 2026년 27%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3년 3월 24일 기준 효성첨단소재 주가는 419,000원이고, 시가총액은 1조 8,771억 원입니다. 현재 매출액, 영업이익 등에 비해 개인적으로는 저평가를 받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재무적으로 원가절감이 동행되어 영업이익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주가 상승은 당연하듯 따라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고압용기 시장 점유율에서 도레이가 55%로 압도적이고, 효성첨단소재는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압용기뿐 아니라 중국 태양광용 단열재 수요 증가에 따라 2022년 11월 탄소섬유 CAPA를 늘리기로 발표하였고, 2028년까지 연간 24,000톤의 생산능력을 보일 것으로 전망 중에 있습니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효성첨단소재의 목표주가는 560,000원을 예상하고 있고, 경쟁업체 대비 저평가 되어있다고 판단되어 목표주가를 높게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4. 효성첨단소재 배당금 전망

효성첨단소재의 2022년 배당금은 1주당 15,000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하였고, 배당수익률은 4.2%입니다. 지난 3월 16일 주주총회를 개최했으니, 4월 16일 이전에는 배당금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효성첨단소재의 배당금 지급 이력을 보면 2021년 처음 1주당 10,000원의 배당금을 지급하였고, 2022년이 2번째로 지급한 기록입니다.

 

2018년에 분할된 기업으로 2020년까지는 배당이 가능한 이익이 없어 배당을 실시하지 못했으나, 2021년에는 배당가능이익이 생겨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적절한 수준의 배당을 실시하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2021년 효성첨단소재 배당성향은 17.82%를 보였고, 2022년은 53.47%입니다. 22년 4분기 기준 자사주 매입 및 소각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안은 없으며, 배당정책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목표나 수치가 정해져 있지 않은 모습입니다.

 

2023~2025년 컨센서스로 비교를 해보아도 순이익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은 아니기에 23~25년도에도 1주당 15,000원 내외의 배당금을 지급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