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뉴로메카 주가 및 보호예수 6축 관절 협동로봇

by 검은머리개미 2023. 3. 10.
반응형

2022년 11월 4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뉴로메카는 공모가가 16,900원으로 확정되었음에도 30%가 상승한 주가로 시작하여 첫날 종가는 21,050원으로 공모가 대비 24%가량 상승한 주가로 마감한 기업입니다.

 

오늘은 협동로봇 기술의 한 분야만 연구개발해온 국내 대표 협동로봇 자동화 원천기술을 보유한 뉴로메카 주가와 보호예수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뉴로메카 기본 개요

뉴로메카는 중소 제조기업에 요구되는 다품종 변량생산 체제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 핵심제품인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협동로봇 플랫폼을 중소 제조기업 등에 공급하는 제조기반 B2B 딥테크 기업입니다.

 

뉴로메카는 창업 초기부터 협동로봇 상용화의 기반 기술(이더캣) 마스터 제어기 및 제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등의 기술을 개발하여 2022년 8월까지 누적 74건의 기술 특허를 출원한 기업입니다. 이렇게 개발된 기술들의 제품화를 통해 뉴로메카는 탁월환 가격 경쟁력과 기술 차별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협동로봇 이외에도 영상교시와 다양한 비전 어플을 실행하는 딥러닝 비전솔루션, 협동로봇에 자율이동성을 제공하는 자율이동로봇(AMR) 플랫폼, 고생산성을 보완할 수 있는 고속, 고정밀 델타로봇 등 다양한 로봇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뉴로메카 재무제표

2022년 뉴로메카 결산 추정치는 2021년 대비 매출액은 32.7% 증가한 97억 5천만원을 기록했습니다. 뉴로메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35.6% 감소한 7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당기순이익도 74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대기업의 랩오토메이션 증가 및 협동로봇 시장 확대에 따른 로봇제품 매출 증가로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연구인력 추가 채용, 신규제품 개발에 따른 연구개발비 증가, IPO 관련 일회성 지급수수료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적자폭이 커졌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2022년 반기 뉴로메카 매출액 비중을 살펴보면, 로봇제품의 매출액이 72%를 차지하고 있고, 이 중에서 57%가 협동로봇인 '인디'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로봇부품은 12%를 차지하고 있고, 매출액의 29%는 SI 용역 제공을 대가로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2019년 이후 4년연속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 중이고, 매출액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도 적자 폭은 감소하고 있으나 4년 연속 적자를 기록 중입니다.

 

2023년 211억 원의 매출액과 16억 원의 흑자전환된 영업이익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뉴로메카 주가 전망

23년 3월 7일 기준 뉴로메카 주가는 30,750원에 마감했습니다. 시가총액은 3,200억 원입니다.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및 F&B 솔루션 서비스 제작 전문 기업입니다. 대표적으로 F&B사업에서 2021년 10월 교촌치킨과 치킨 조리 로봇 개발에 대한 MOU를 체결하였으며, F&B 사업이 뉴로메카의 협동로봇 실적 성장을 견인할 전망입니다.

 

뉴로메카의 대표적인 협동로봇은 6축 관절 움직임이 가능한 Indy7 제품입니다. 국내 제조업 기업으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뉴로메카를 비롯한 모든 완성형 협동로봇 생산기업은 원가 절감과 CAPA 확장이 수익성 개선에 필수적이라 노력 중에 있습니다.

 

현재, 감속기를 제외한 핵심부품을 내재화했으며, 감속기는 24년 개발완료 목표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국내 로봇 감속기 전문 기업 에스비비테크도 알아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아무튼, 이를 통해 원가율이 70% 이내로 낮아지는 추세라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CAPA는 협동로봇 기준 600대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2024년 12,000대 이상 확장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교촌 F&B 3개 매장에 협동로봇 및 솔루션 공급을 완료했으며, 2023년에는 적용 매장 확대에 따른 외형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점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평균적으로 매장 당 2대의 협동로봇이 공급되고 있다고 합니다.

 

22년 3분기부터 본격적인 CAPA증설과 인력채용 등으로 2022년에는 큰 폭으로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했지만, 2023년에는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핵심부품 내재화로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F&B사업 외형 확대, 협동로봇 이외에도 산업용, 자율이동로봇 등 다양한 라인업을 통해 추가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협동로봇에 대해 아직 의아해하시는 분들은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무인으로 커피를 만드는 기계를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 제품이 뉴로메카 제품입니다.

 

향후, 고령화, 인구 감소로 노동인력이 줄어들어 로봇의 사용은 확대될 것이고, 높아지는 임금으로 인해서도 협동로봇의 사용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주기적으로 정비가 필요한 부분이고, 소모성 제품등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려면 원가절감이 지금보다는 더 되어야 한다는 평이 많습니다.

 

뉴로메카 보호예수

뉴로메카 보호예수 물량은 벤처금융의 보호예수 기간 1~3개월 물량은 모두 해제가 된 상태입니다. 현재 남아있는 보호예수 물량은 대표이사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23% 정도의 지분과 우리사주조합의 2.28%의 물량입니다.

 

우리사주의 2.28% 보호예수 물량은 상장 후 1년 (23년 11월 4일)에 해제될 예정이고, 대표이사 물량은 상장 후 3년, 특수관계인은 상장 후 2년 후 보호예수가 해제됩니다.

 

따라서, 보호예수 해제에 따른 주가 하락은 당분간 보이지 않을 전망입니다.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상으로 뉴로메카 주가와 보호예수 물량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